벌처 Vultr Plesk 접속 불가 500 Internal Server Error 문제 해결(워드프레스 기능 고장 등)

이 글은 호스팅 벌처(Vultr)를 사용하고 플레스크(Plesk)를 사용하여 워드프레스를 개설한 이용자들 중에 어느 날 갑자기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의 기능 오류가 발생하고(메뉴가 사라진다던지, 워드프레스에서 정상적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했는데 로그인이 안된다 던지), Plesk 로그인 화면 조차 ‘500 Internal Server Error’가 뜨면서 벌처 관리자 화면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이용자에게 한가지 해결책을 드리고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해결 되셨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500 Internal Server Error 현상 원인

제가 알아낸 결론은 DISK 공간 부족 이었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대부분 PHP 램 용량 부족하다. PHP를 수정해라 뭘 해라 그러는데 저는 Plesk 자체가 로그인이 안되어 PHP를 수정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그런데 나중에 알고보니 plesk 못 들어가도 벌처에서 콘솔로 수정할 수 있는 거였더군요. 제가 완전 서버에 무지해서..)그래서 좀 더 알아본 결과 서버용량이 꽉차서 워드프레스 로딩과 기능 이상이 생겼고 plesk도 들어갈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벌처는 가장 싼걸로 하면 30GB의 공간을 줍니다. 이 공간에서 우분투 서버 굴리는 데 7~8GB Plesk 등 설치하는데 2기가 그리고 서버 핵심 운영 파일에 10GB 넘게 들어갑니다. 여기에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다보면 LOG파일, SWAP파일, SnapShot파일(백업 파일)까지 생깁니다. 그러다보면 용량이 가득 차는 것이죠.

저는 서버에 완전 무지합니다. 명령어 이런거 하나도 모르는 문과생입니다. 그런 제가 떠올린 해결책은 AI였습니다. Copilot에 저의 현상에 대한 질의를 했고, 특히 제가 현재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벌처의 콘솔창을 도구로 AI에 제시했습니다. 그리했더니 콘솔창에서 디스크 용량 확인과 해결방법들을 하나하나 찾아갔습니다. 그 내용을 공유합니다.

벌처 Vultr에서 디스크 용량 확인방법

벌처 메인 화면에서 위 스샷처럼 View Console을 누릅니다. 호스팅 서버에 명령어를 내리는 프롬프트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처음에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요. plesk에 접속했던 아이디/비밀번호와 동일합니다. 대부분 아이디는 root일겁니다. 그다음 비밀번호는 타이핑을 해도 먹통일텐데요. 우분투에서는 비밀번호 입력시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먹통인것같아도 키를 눌렀을때 입력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비밀번호 너무 복잡해서 복붙해서 썼잖아요? 그런데 우분투 콘솔에서는 윈도우 CMD처럼 바로 텍스트가 복사 붙여넣기 되지 않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별도의 창을 활용하여야합니다.

그렇게 로그인을 한 후, 용량 확인을 하려면 다음을 입력합니다. DOS에서 dir 같은 명령어라 보시면 됩니다.

df -h

그럼 결과가 아래처럼 나옵니다.

저같은 왕초보를 위해 이해시키자면 하드디스크를 분할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dev/vda1 이 부분이 30gb인데 26GB를 쓰고 있죠. 이 부분이 저는 방금 전까지 30GB였습니다. 그래서 use가 100%였어요. 이게 plesk 로그인 화면으로 안 넘어가고 워드프레스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원인이었습니다. 더 오른쪽에 Mounted on 부분에 ‘/’ 이라고 쓰여있잖아요? 일반 컴퓨터의 C:> 와 유사한 공간인 것입니다.

그러면 디스크 용량 정리를 해야하는데요. 우린 우분투 명령어를 모르잖아요? 하지만 우리에겐 기적의 비서인 AI가 있습니다. Copilot에게 계속해서 ‘벌처 view console에 들어왔는데, 용량이 꽉찬 것같은데 어디 용량을 줄이면 돼?’ 등등 필요한 질문을 해서 용량을 확보해봅니다.

이건 사람마다 달라서 AI의 도움을 받아서 하나하나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경우에는 임시 파일등을 지웠음에도 용량이 아주 조금 100MB정도만 늘어나서 폴더 하나하나를 지워도 되는지 AI에 물어봤습니다. 예를 들어 ‘/dev/vda1에 어떤 폴더와 파일이 들어있는지 용량도 함께 볼 수 있는 명령어 알려줘’ 하면 아래 명령어를 알려줍니다.

du -h --max-depth=1 /

무슨 뜻인지 아예 모르지만 쳐보면 아래처럼 나옵니다.

보시면 /opt /usr /snap /var 가 용량을 많이 차지하죠? 그런데 각 폴더를 지워도 되는지 잘 모르잖아요? 다시 AI에게 물어봅니다. ‘ 용량이 부족한데 /snap’폴더 지워도 돼?’라고요. 그러면 아래처럼 알려줍니다.

이런 식으로 하나하나 알아가며 필요없는 것을 지웠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swap.img 와 swapfile이 5~7기가를 차지하였는데요. AI에게 물어보니 swap 현재 사용량이 얼마인지 알수 있는 명령어가 있더라구요. 다음을 입력하면 됩니다.

free -h

그러면 아래처럼 뜹니다.

보시다시피 스왑용량이 4.4기가인데 331메가 쓰고있습니다. 4기가나 남는 것이죠. 그래서 스왑을 줄일 수 없냐고 AI에게 물으니 SWAP 용량 크기를 설정할 수 있고 재설정할 수 있다고 일련의 과정을 알려줍니다. 그 과정을 통해 기존 스왑파일을 삭제하고 새로 설정한 용량의 SWAP파일을 만들어 용량을 상당히 확보 할 수 있었습니다. SWAP이 뭔지 몰랐는데 윈도우에서 하드디스크 용량의 일부를 가상메모리로 쓰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었습니다. 그외에도 삭제해도 상관없는 임시파일들을 지우는 명령어등을 알려달라고 해서 그대로 실행했습니다. 그뒤로 정상적으로 복구가 되었습니다. 이걸 몰라서 매번 오류 상황이 발생할때마다 벌쳐에서 백업하는 수고를 했었네요.. 인터넷에 검색해봐도 정보가 너무 없어서 올려봤습니다.

결론

여러분의 개별 상황이 모두 다르겠지만, 저와 같은 상황이라면 호스팅 서버의 디스크 용량을 저처럼 조회해보시고 용량이 가득 찼다면 AI의 도움을 받아서 용량을 확보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