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어패널은 차량 하부를 구성하는 주요 골격으로,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중고차를 구매할 때 이 부품의 교환이나 절단·용접 흔적이 있다면 반드시 사고차로 분류해야 합니다. 외관상 멀쩡해 보여도 내부 구조가 손상되었을 수 있으므로 성능점검기록부를 통해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플로어패널이란 무엇인가요?
플로어패널은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금속 구조물로, 사이드멤버, 크로스멤버, 필러패널, 시트브라켓 등과 연결되어 차량 하부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승객이 앉는 공간을 구성하며, 하부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부품입니다.
🔍 사고차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중고차를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사고 이력 여부입니다. 특히 플로어패널은 차량의 구조적 안정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교환 또는 절단·용접 흔적이 있다면 사고차로 분류됩니다.
- 무사고 차량: 플로어패널에 단순 판금만 있고 절단·용접 흔적 없음
- 사고 차량: 플로어패널이 교환되었거나 절단·용접된 흔적이 있음
성능점검기록부에서도 플로어패널은 주요 골격 항목으로 표시되며, 교환 이력이 있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실제 수리 사례
예를 들어, 마쯔다 AZ-1 차량의 사고 수리 과정에서는 플로어패널을 절단 후 새로 제작하여 복원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구조 손상이 있었음을 의미하며, 사고차로 간주됩니다.
해당 사례는 이 블로그 글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고차 사진과 확인 방법
외관상 멀쩡해 보여도 바닥 내부가 찌그러졌다면 단순 판금이 아닌 교환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고 흔적을 확인하는 방법은 이 블로그 글에서 참고하실 수 있어요.
✅ 결론
플로어패널은 단순한 바닥 철판이 아니라 차량 하부 전체를 지지하는 핵심 골격입니다.
따라서 교환 또는 절단·용접 이력이 있다면 반드시 사고차로 분류해야 하며, 중고차 구매 시 성능점검기록부에서 해당 항목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