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시장이 변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기술의 한계가 드러나며 제조사들은 새로운 대안을 모색 중입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2028년 미국과 호주를 겨냥한 중형 픽업트럭을 출시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이들이 준비 중인 픽업트럭은 전통적인 구조를 탈피한 혁신적인 모델로,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대차의 두 가지 전략
현대차는 이번 신차 개발을 위해 두 가지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GM과의 협력을 통해 중남미 시장을 공략하는 것입니다. 공동 개발할 신차에는 중형 픽업트럭과 전기 상용차, 소형 차량이 포함됩니다. 특히 픽업트럭은 2028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연기관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이 함께 등장할 예정입니다.
두 번째는 기아 타스만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독자 모델입니다. 현대차는 이 모델을 통해 호주와 북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현대차 호주법인 대표 돈 로마노는 “2028년경 특별한 유트(Ute, 픽업트럭)를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GM 플랫폼을 공유할 가능성은 적다고 언급하며, 현대차만의 독자 기술로 승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새로운 팩트 EREV
기술적 측면에서도 현대차의 신형 픽업트럭은 주목할 만한 혁신을 지니고 있습니다. 로마노 대표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하이브리드 옵션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이는 ‘EREV(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엔진이 발전에만 간섭하고 순수 전기 모터로만 주행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순수 전기 픽업의 충전 인프라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젤 엔진의 환경 규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아 타스만의 가능성
기아의 타스만 모델이 기초가 되는 만큼, 그 주요 특성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로마노 대표는 타스만의 섀시를 “훌륭한 인프라”로 평가하며, 이를 통해 개발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정통 픽업트럭의 성능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처럼 현대차는 GM과의 협력 모델과 독자 개발 모델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통해 글로벌 중형 픽업트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단계에 와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에게 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것이며, 픽업트럭 시장의 경쟁을 한층 더 치열하게 만들 것입니다. 현대차와 기아의 새로운 모델들이 어떤 혁신을 가져올지 기대되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