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라디에이터서포트(볼트체결부품)

라디에이터 서포트가 판금 또는 교환되었더라도 볼트 체결 방식이라면 일반적으로 무사고 차량으로 분류됩니다. 단, 라디에이터 서포트가 용접 방식이거나 프레임과 연결된 구조라면 사고차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라디에이터 서포트란 어떤 부위인가요?

라디에이터 서포트(Radiator Support)는 차량 전면부에서 라디에이터, 콘덴서, 헤드램프, 범퍼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입니다. 사고 시 가장 먼저 충격을 받는 부위 중 하나이며, 차량의 외판과 프레임 사이에 위치합니다.

📌 주요 특징:

  • 대부분 볼트 체결 방식으로 제작되어 교환이 용이함
  • 일부 차량은 프레임과 용접된 구조일 수 있음 (이 경우 사고차로 분류)

📸 구조 이미지 보기:

🔧 라디에이터 서포트 판금/교환 수리 과정

판금 수리는 경미한 손상 시 진행되며, 교환 수리는 찌그러짐이 심하거나 구조적 문제가 있을 때 진행됩니다.

판금 수리 절차:

  1. 손상 부위 확인
  2. 라디에이터 및 주변 부품 탈거
  3. 서포트 판금 및 정렬
  4. 도색 및 건조
  5. 부품 재조립

📸 판금 사례 보기:

교환 수리 절차:

  1. 기존 서포트 탈거
  2. 신품 서포트 장착
  3. 도색 및 색상 매칭
  4. 정렬 및 고정 확인
  5. 성능 점검 및 마무리

📸 교환 사례 보기:

⚠️ 사고차 여부 판단 기준

  • 무사고 차량: 라디에이터 서포트가 볼트 체결 방식으로 교환되었고, 프레임 손상 없음
  • 사고차량: 라디에이터 서포트가 용접 방식이거나 프레임과 연결된 구조로 손상되어 교환된 경우

👉 성능점검기록부에서 ‘주요 골격’ 항목을 꼭 확인하세요. 라디에이터 서포트가 ‘단순교환’으로 표기되면 무사고입니다.

📷 라디에이터 서포트만 손상된 사고 사진

아래는 라디에이터 서포트만 손상된 사고 사례 이미지들입니다. 범퍼나 후드 외에 프레임 손상 없이 서포트만 찌그러진 상태로, 대부분 무사고 차량으로 간주됩니다.

출처: https://m.blog.naver.com/adsl5051/222154019357
출처: https://m.blog.naver.com/adsl5051/222154019357